목록클라우드 (3)
Myo-Kyeong Tech Blog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4NjV/btsBc0YADxN/dxWW1RFn7tXJwhzFPwHKYK/img.png)
Docker 이미지 준비 가상 머신(VM)에서 Dockerfile을 이용해 이미지 빌드하기 docker build -t your-image:tag . ※ 다음과 같이 Dockerfile이 있는 경로에서 실행시켜야 합니다!! Azure Container Registry(ACR) 에 로그인 ACR에 이미지 push 하기 전에 Azure CLI를 통해 ACR에 로그인하기 az acr login --name YourRegistryName ※ Azure CLI 설치가 안되어 있을 시 Azure CLI 를 설치 먼저 해주세요. # 설치 프로세스에 필요한 패키지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ca-certificates curl apt-transport-https lsb-r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VfUR/btszRU5MyaJ/xKvQMcmN163CPMtwJkUZm1/img.jpg)
리전 (Region) 리전이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해 주요 거점에 구축한 하나 이상의 존의 집합을 의미.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지리적 위치로 구분. 현재 한국, 미국 서부, 홍콩, 싱가포르, 일본, 독일 리전이 존재 (2023-11월 기준) 간단하게, 리전 선택은 "인프라를 생성할 국가" 를 선택한다고 생각해도 됨 리전이 사용자와 가까울 수록 서버 응답 속도가 빠르므로 사용자와 리전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하여 리전을 선택 존 (Availablilty - zone) 리전 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데이터센터 및 네트워크를 의미 각 존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존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. 하나의 리전 안에는 하나의 존이 있는 단일존과 여러 존이 있는 멀티존이 존재.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OoUI/btshaq84j0w/0Tr2GeVtG6HWDzYqDD3gk1/img.png)
Window Powershell로 네이버 클라우드 Server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. 1. 공인 IP 확인 [Server] 클릭 -> 해당 서버 클릭 -> 공인IP (instance ID ) 확인 2.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[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] -> [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] 클릭 서버 설정 때 받은 인증키(.pem)를 불러온 후 [비밀번호 확인] 버튼 클릭 3. Windows Powershell로 NAVER CLOUD Server접속 [Windows Powershell 창] ssh root@공인 IP 주소 2. 관리자 비밀번호에서 확인한 비밀번호 입력하시면 해당 서버에 접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: )